-
이번에 알아볼 내용은 이번에 명예 회복에 나섰던 한국 야구가 3회 연속 월드베이스볼 클래식(WBC) 1라운드 탈락이라는 치욕적인 성적표를 안고 귀국하는데, 과연 이렇게 '우물 안 개구리'인 한국야구의 연봉은 얼마인지 알아보도록 할게요.
사진출처: WBC 공식 트위터 한국야구 3회 연속 월드베이스볼 클래식(WBC) 1라운드 탈락
이강철 감독이 이끄는 야구 대표팀은 13일 일본 도쿄돔에서 열린 중국과의 최종전서 22-2 5회 콜드 게임승을 거뒀다.
이로써 2승 2패를 기록한 대표팀은 호주(3승 1패)에 밀리면서 B조 3위를 확정, 2라운드 진출에 실패했다. B조에서는 4전 전승의 일본이 1위, 호주가 사상 첫 8강 진출의 결실을 맺으며 8강에 올랐다.
굴욕이라는 말 이외에는 달리 표현할 말이 없는 우리 한국야구대표팀의 현주소다. 한국은 1~2회 대회가 열린 2006년과 2009년, 4강 및 준우승의 성과를 냈으나 2013년 열린 제3회 WBC서 한 수 아래라고 평가받았던 네덜란드와의 1차전서 충격패를 당하며 아쉽게 1라운드서 탈락했다.
이어 급기야 야구 변방으로 불린 이스라엘전마저 내주며 1라운드 탈락 수순을 밟았다. 당시 대회가 서울 고척돔에서 열렸기 때문에 패배의 충격은 더욱 크게 다가왔다.
그래서 KBO는 6년 만에 열린 이번 대회서 명예회복에 나서겠다며 최정예 멤버 구성에 나섰다. 리그를 대표하는 투수, 야수들이 대표팀 최종 엔트리에 선발됐고 메이저리그에서 뛰는 김하성과 토미 에드먼도 합류하며 8강을 넘어 4강 진출까지 이루겠다는 뚜렷한 목표를 세웠다.
그러나 호주와의 첫 경기에서부터 패하면서 첫 단추를 잘못 꿴 우리 대표팀은 역대 최강이라는 불리는 일본전서 대패하며 다시 늪으로 빠져들었다.
한국야구대표팀 연봉 얼마일까?...
선수 팀 2023 연봉 FA 및 장기 계약 연평균 수입 김광현 SSG 10억원 4년 151억원 37억 7500만원 양현종 KIA 5억원 4년 103억원 25억 7500만원 구창모 NC 6억원 6+1년 132억원 18억 8571만원 박세웅 롯데 15억원 5년 90억원 18억원 이용찬 NC 4억원 3+1년 27억원 6억 7500만원 고영표 KT 4.3억원 4억 3000만원 고우석 LG 4.3억원 4억원 정우영 LG 4억원 3억 5000만원 원태인 삼성 3.5억원 3억 5000만원 선수 팀 2023 연봉 FA 및 장기 계약 연평균 수입 소형준 KT 3.2억원 3억 2000만원 김원중 롯데 2.52억원 2억 5200만원 이의리 KIA 1.5억원 1억 5000만원 김윤식 LG 1.5억원 1억 5000만원 곽빈 두산 1.4억원 1억 4000만원 정철원 두산 1억원 1억원 김하성 SD 700만 달러 4년 2800만 달러 91억원 토미 에드먼 STL 420만 달러 55억원 양의지 두산 3억원 6년 152억원 25억 3333만원 선수 팀 2023 연봉 FA 및 장기 계약 연평균 수입 나성범 KIA 8억원 6년 150억원 25억원 오지환 LG 6억원 6년 124억원 20억 6667만원 김현수 LG 10억원 4+2년 115억원 19억 1667만원 최정 SSG 10억원 6년 106억원 17억 6667만원 박건우 NC 9억원 6년 100억원 16억 6667만원 박해민 LG 6억원 4년 60억원 15억원 이정후 키움 11억원 11억원 박병호 KT 7억원 3년 30억원 10억원 이지영 키움 5억원 5억원 선수 팀 2023 연봉 FA 및 장기 계약 연평균 수입 김혜성 키움 4.2억원 4.2억원 최지훈 SSG 3억원 3억원 강백호 KT 2.9억원 2.9억원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선수들의 몸값.. 하지만 한국 야구는 '우물 안 개구리'
앞서 얘기했다시피 지금 한국 야구의 현주소를 한 마디로 정의한다면 ‘우물 안 개구리’라 할 수 있다. 국제대회에서의 경쟁력은 갈수록 뒤처지기만 하는데 선수들의 몸값은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하고 있기 때문이다.
첫 1라운드 탈락의 참사가 벌어졌던 2013년, KBO리그의 평균 연봉은 9496만원이었고, 두 번째 탈락의 쓴맛을 봤던 2017년에는 1억 3883만원으로 증가했다. 그리고 2023시즌에는 1억 4648만원으로 집계됐다.
이는 역대 최고액이었던 지난해(1억 5259만원)보다 약 4% 감소한 수치다.
특히 대표팀에 선발된 선수들은 실력과 반비례하는 초고액 연봉자들이 가득했다. 메이저리거인 김하성, 에드먼을 제외하고 연평균 수입이 가장 높은 선수는 김광현으로 지난해 복귀 당시 4년간 151억원(연평균 37억 7500만원)의 대혀 계약을 맺은 바 있다.
하지만 김광현은 일본전 선발로 나와 타순이 한 바퀴 돌자 이겨내지 못하며 2이닝 4실점으로 부진했다.
100억애 계약을 체결한 선수들의 면면을 살펴보면 투수쪽에서는 김광현 외에 KIA 양현종(4년 103억원), NC 구창모(6+1년 132억원)이며, 야수들은 두산 양의지(6년 124억원), LG 김현수(4+2년 115억원), SSG 최정(6년 106억원), NC 박건우(6년 100억원) 등 9명에 이른다.
그럼에도 준수한 경기력은 보여주지 못할뿐더러 타격 및 마운드에서의 부진은 기본이었고, 대타로 출전해 무안타에 그치거나 수비에서 공을 빠뜨리는 등 기본기를 망각한 플레이들의 향연이 펼쳐지고 있다.
지금 한국야구는 몸값만 높다. 당연히 몸값이 높기 때문에 배가 부른 거나 마찬가지라 볼 수 있다. 지금 선수들이 기억해야 하는 것이 만약 한국야구가 이렇게 몸값만 높은데 실력은 없고 국제대회에서 뒤처진다면 한국야구의 인기는 급속도로 하락된다는 것을 인지하여야 한다.
'스포츠'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3 여자배구 FA 명단(feat. 김연경, 배유나, 김희진, 김수지, 김연견) (0) 2023.03.17 2023 WBC 8강 경기일정(푸에르토리코 멕시코, 미국 베네수엘라) (0) 2023.03.17 EPL 순위는?(feat. 아스널, 맨시티, 맨유, 토트넘, 리버풀, 뉴캐슬) (0) 2023.03.13 한국 WBC 8강행 경우의 수.... “체코가 4실점 이상 이상 승리해야!.. (0) 2023.03.13 [PGA투어] 더 플레이어스 챔피언십 우승상금 및 중계 (0) 2023.03.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