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23. 3. 6.

    by. 필요한 정보

    6년 만에 드디어 2023 WBC가 열립니다. 그래서 2023 WBC 일정이나 조편성, 중계 그리고 한국 경기일정 및 대표팀 명단 등 대회에 대한 전반적인 주요 내용을  작성해보도록 할게요.

     

    WBC 일정

    2023 WBC 일정은 2023년 3월 9일부터 21일까지 일본(도쿄), 대만(타이중), 미국(피닉스, 마이애미) 등지에서 경기를 진행합니다.

     

    이번 대회는 총 4개 지역에서 펼쳐집니다. 대만, 네덜란드, 쿠바, 이탈리아, 파나마가 속한 A조는 타이중에서, 한국과 일본, 호주, 중국, 체코가 속한 B조는 일본 도쿄에서 1라운드를 치릅니다.

     

    C, D조 경기는 모두 미국에서 벌어집니다. 미국, 멕시코, 콜롬비아, 캐나다, 영국이 소속된 C조는 애리조나주 피닉스에서, 푸에르토리코와 베네수엘라, 도미니카공화국, 이스라엘, 니카라과가 소속된 D조는 마이애미에서 1라운드 경기를 벌입니다.

     

    경기방식의 경우 3월 9일부터 20개 팀이 5팀씩 4개조로 나뉘어 1라운드 조별 풀리그로 경기를 펼친 후 각 조 1, 2위 8팀은 2라운드 8강에 진출하여 3월 15일부터 토너먼트로 경기를 펼치게 됩니다.

    여기서 2라운드에서 승리한 4팀은 세미파이널에 진출하여 3월 19일부터 토너먼트로 경기를 펼치게 되고, 세미파이널에서 승리한 2팀은 챔피언십에 진출하여 3월 21일 단판 승부로 우승을 놓고 치열한 승부를 하게 됩니다.

    이번 대회는 대만, 일본, 미국으로 나뉘어서 진행이 되고, 한국은 8강까지 일본에서 경기하는데, 만약 4강까지 올라간다면 미국으로 가는 일정이 되겠습니다. 

     

    역대 WBC에서는 본선 2라운드, 8강까지는 리그제로 대회가 진행되었지만 이번에는 8강전부터 녹아웃 토너먼트(단판전)로 진행됩니다. 1라운드에서는 7회까지 10점 이상, 5회까지 15점 이상으로 벌어지게 될 경우 콜드게임으로 경기가 종료됩니다.

     

     

     

    WBC 1라운드 조편성

    A조: 대만, 네덜란드, 쿠바, 이탈리아, 파나마
    B조: 한국,일본, 호주, 중국, 체코
    C조: 미국, 멕시코, 콜룸비아, 캐나다, 영국
    D조: 푸에르토리코, 베네수엘라, 도미니카공화국, 이스라엘, 니카라과

     

    본 대회는 총 20개국이 참여하며, 총 4개조로 나뉘어 1라운드가 진행됩니다. 1라운드에서 최소 조 2위를 해야 2라운드(8강) 진출이 가능합니다.

     

    특히 WBSC 랭킹 4위인 한국의 경우 일본(1위), 호주(10위), 중국(30위), 체코(15위)와 함께 이번 대회 B조에 속해 있는데, 아무래도 일본이 홈 경기이기 때문에 홈 이점이라는 유리한 상황이다.

     

     

    2023 WBC 중계

    MBC, KBS, SBS, 네이버스포츠, 아프리카TV에서 우리나라 선수들의 경기를 생중계합니다.

     

    한국 경기일정에 맞춰 위에 있는 방송사로 시청하시면 됩니다.

     

     

     

    한국 경기일정

    1차전- 3월 9일(목) 낮 12시 호주
    2차전- 3월 10일(금) 오후 7시 일본
    3차전- 3월 13일(월) 낮 12시 체코
    4차전- 3월 13일(월) 오후 7시 중국

     

    본 경기는 일본 도쿄돔에서 경기가 치뤄집니다.

     

     

    2023 WBC 대한민국 선수명단

    투수(15명)
    우완투수(10명): 고우석(LG), 정우영(LG), 고영표(KT), 소형준(KT), 이용찬(NC), 원태인(삼성), 김원중(롯데), 박세웅(롯데), 곽빈(두산), 정철원(두산)

     

    좌완투수(5명): 김광현(SSG), 김윤식(LG), 양현종(KIA), 이의리(KIA), 구창모(NC)

     

    포수(2명)
    이지영(키움), 양의지(두산)

     

    내야수(7명)
    최정(SSG), 김혜성(키움), 오지환(LG), 박병호(KT), 강백호(KT), 김하성(샌디에이고), 토미 현수 에드먼(세인트루이스)

     

    외야수(6명)
    이정후(키움), 김현수(LG), 박해민(LGS), 나성범(KIA), 박건우(NC), 최지훈(SSG)